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대부분 수학을 꼽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즐겁게 공부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플립러닝을 적용해보기로 합니다.


플립러닝에 대한 안내는 오른쪽 참고 블로그에 있습니다.(http://blog.coursemos.kr/15)



사전영상을 무엇으로 제공할지 고민이 되었는데요~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10분 이내의 영상을 제가 직접 만드는게 가장 좋을것이라고 판단되었습니다.(선생님의 걸쭉한 목소리를 들으면 좋아하리란 생각에..)


영상제작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explain everything앱(안드로이드, iOS 모두 지원, 참고블로그: http://blog.naver.com/irian926/220252073492)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다음과 같은 준비를 했습니다.


1. 아이패드 프로, 애플 펜슬(필기감 굿)

노트1.0 2014를 사용해본 경험으로 펜에대한 만족감이 떨어졌으나, 지난해 말 출시된 아이패드프로(12인치, 아이패드프로 9.7인치 정발 예정)와 애플펜슬은 화면의 부딪히는 소리만 제외하고는 필기감이 너무 좋았습니다. explain everything(아래부터 EE로 표시)사용을 위해서 구입했습니다.(안드로이드 패드 및 기존 아이패드에서도 사용가능)




2. 필요한 교과서  해체를 위한 떡 제본기

  교과서 pdf파일이 제공되면 EE앱에서 바로 별도의 페이지로 가져오기가 되기때문에 편하기는 하지만 제공되는 pdf 파일이 제한적이라서 떡 제본기로 책 제본 부위를 녹여서 떡(?)을 해체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제본용 떡(?)이 있으면 책을 제본할 수도 있습니다.(원래 용도)



참고사이트 (http://www.samumall.com/shop/index.asp?c1=6&c2=5&c3=4&c4=1&no=6442&m=v)




위와 같이 살살 데워진 떡(?)이 끈적하게 떨어지면서 책의 훼손을 최소화해서 페이지별로 분해가 가능합니다. 근처 제본집이 있으면 책을 뎅강 잘라달라고  요청하셔도 됩니다. ^^;



3. 필요한 페이지를 스캔하기위한 스캐너


학교에서는 위 단계까지 작업한 분해된 교과서가 있다면 교무실에 흔히 볼수있는 복합기에 스캔 메뉴를 이용해서 한번에 스캔이 가능합니다.(복사만 되는게 아닙니다.ㅎㅎ) 집에서는 필요한 부분을 스캔하기위해서 스캔스냅을 활용했습니다. 일반 스캐너에 비해서 양면스캔을 쉽게 할수 있답니다.



참고블로그(http://blog.naver.com/poiyuk/10189870062)



4. explain everything으로 pdf 파일 전송용 클라우드 가입하기


EE앱에서 파일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가장 손쉬운 방법이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것이다. 구글 포토, 드롭박스, 구글 드라이브, 원드라이브 등 다양한 클라우드 자료를 가져올 수 있는데 필자의 경우 드롭박스를 활용하였다. 스캐너와 연결된 PC에 드롭박스 PC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해당 폴더에 스캔파일을 저장하면, EE앱에서 짧은 시간에 동기화 된 교과서 파일을 가져올 수 있다.






나이스로 교육과정 편성하기 (1)~(2)단계를 진행하셨다면 나이스 교육과정 작업은 거의 완료되었다. 그런데 학교 일정의 변화나 입력의 오류로 인하여 해당되는 '수업학년도' 기간에 포함되지 않는 날짜의 수업을 변경하는 경우 처리방법을 살펴보자.

(예: 2학기 수업을 변경하는데 1학기 자율 시수가 1시간 누락하여 입력한 경우, 수업학년도 변경이 되지 않아서 반별시간표관리에서는 수정이 불가능한 상황)




1. 교육과정 클릭

2. 반별시간표 클릭

3. 학기별 시간표 관리 클릭

4. 학기 및 학년 반 조회

5. 편제 및 시간배당에 입력한 학기별 시수와 실제 나이스 상에 입력된 과목의 편차를 확인하고 편차가 0이 아닐경우 수정을 해야한다.

6. 수정하고자 하는 과목 우클릭 후 선택하면 편차가 바로 반영되어 조회된다. 저장을 눌러 변경내역을 저장한다.


본 과정까지 마무리되면 편제 시수 및 실제 이루어질 반별 시간표까지 정확히 시수가 맞아떨어지게 된다. 추후 변경되는 일정의 경우 나이스에서 실시간으로 수정하여 누가입력하면 학년말 별도의 종이서류를 수정하는 번거로움은 없게 될 것이다.



  나이스로 교육과정 편성하기(1)의 내용에서 작업한 연간시간표의 내용을 나이스 '반별시간표'에 동일하게 입력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나이스에서도 시수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나 다소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나이스 교육과정 편제 및 교과에 등록한 편제 시수(1년)/ 1학기 반별시간표에 반영된 시수/ 1학기 반별 시간표에 반영된 시수 / 현재 조회하는 주차까지 반영된 시수/ 현재 조회되는 주차에 주당 시수/ 순으로 조회가 된다. 따라서 2학기 마지막 주에 조회를 할 경우 전체시간표와 현재까지의 시간표는 동일한 시수로 조회될 것이다.(만약 다르다면 반별 시간표 상의 과목 수정을 통하여 조정이 필요하다.)


[학년도 첫 주차 반별시간표 조회 화면]



[학년도 마지막 주차 반별시간표 조회 화면]



반별시간표에서 연간 시수를 조정 한 후 학습내용 등록 메뉴를 클릭하여 과목별 학습내용을 등록한다. 

  

  번호별 설명

1. 학습내용 등록은 1학기/2학기/전체(0)로 구분하여 등록한다. 도덕과 같이 학기 구분이 없는 과목의 경우 전체(0)을 선택한다. 하지만 학기별로 시수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학기별로 등록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2. 등록하고자 하는 학기를 선택 후 편제 신규를 선택하여 과목명을 입력한다.
   ※ 1학기에 등록한 편제는 전체(0)에서 조회되지 않는다.
3. 학습내용을 클릭하면 2009 개정교육과정 학습내용 예시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4. 3번에서 다운로드한 예시파일을 학교 실정에 맞게 수정, 업로드할 때 사용한다. 파일내리기의 경우 다음 학년도에 파일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 다운로드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학습내용 과목 별 파일 올리기 화면-하나의 엑셀파일에 전체 과목 입력 가능]

1. 파일 올리기를 선택한다.

2. 과목별, 혹은 전체 과목을 하나의 엑셀파일로 정리한(샘플 파일 수정) 파일을 선택한다. 

3. 화면에 미리보기된 내용에 이상이 없으면 저장을 선택한다. 이전에 등록한 자료가 있을 경우 삭제하고 본 순서대로 진행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료가 기존 내용에 추가되어 저장된다.


[학습내용 등록 완료 화면]


위와 같이 과목별 혹은 전체 과목이 정리된 학습내용을 등록한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경우 영역별(자/동/봉/진)로 입력해야한다. 입력은 학년별로 이루어지므로 반별로 별도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 입력이 완료되면 주간학습등록 메뉴로 넘어간다.


학습내용을 학년에서 입력을 완료했다면 반별로 주간학습 등록 메뉴에 접근하였을 때 과목별 학습내용이 조회된다.



1. 교육과정 메뉴 클릭

2. 주간학습등록 클릭

3. 해당 학기 및 과목을 선택하여 조회 클릭

4. 반별시간표에 기 입력한 조회과목(예시: 국어)이 편성된 날짜가 조회된다.

5. 학습내용 등록에서 이미 입력해둔 학습내용이 차례대로 조회된다.

6. 학년별로 공통적으로 학습내용이 가져와지기 때문에 반별로 세부 내용을 조정이 필요할 경우 한줄위로/ 한줄 아래로 버튼을 활용한다.

   (예: 학업성취도평가 응시하기, 현장체험학습 참여하기 등의 내용은  특정 날짜로 이동하여 조정이필요함/ 반별 시간표가 다르기때문에 필수적으로 수정이 필요함)

7. 특정 주의 반별 시간표를 조회할 경우 클릭한다.

8.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주간학습 생성을 클릭하여 주간학습 생성을 완료한다.



전체(0)으로 입력한 편제의 경우 전체학기를 선택하고, 학기별로 입력한 경우 편제 앞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저장한다. 만약 특정 편제에 대한 수정을 한 경우 수정한 편제만 선택하여 저장하면 일부 수정도 가능하다. 이렇게 수정된 경우 시간표 동기화를 클릭하여 수정된 내용을 주간학습에 반영하도록 한다.


작업이 완료되면 주간학습 조회에서 양식1/ 양식 2를 선택하여 조회가 가능하다. 주간학습내용은 학부모서비스에 자동 연동되어 제공되기때문에 별도의 주간학습 안내는 필요하지 않다.


[주간학습조회-양식1/양식2]




지금까지 나이스로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반별 제출 서류는 기초시간표/ 연간운영계획이며, 업무관리시스템 첨부파일로 결재를 득한다. 또한 연간지도계획은 반별로 교육과정 재구성, 혹은 학교별 행사일 변동 등을 감안하여 나이스상으로 보관하고, 학사감사가 있을 경우 학교 마스터로 기준년도 학기를 변경하여 조회하도록 계획하였다.


  이로서 paper work 으로만 이루어지던 기존의 사설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여, 전자정부법 취지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을 추진해 보고자 한다. 창의적체험활동 누가기록에서 '주간학습가져오기'를 통하면 자료 입력의 오류를 없앨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나이스 기능개선에 불편한 사항을 건의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선생님들의 업무 경감을 이룰 수 있기를 바라본다.


[연간운영계획 저장 화면]


[과목별 연간지도계획 출력 화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