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팁: 노트북LM PDF를 팟캐스트처럼 쉽게 만드는 방법!

 

팁 요약: 노트북LMPDF, 웹사이트, 유튜브 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업로드하면 AI가 자동으로 요약하고, 두 명의 AI 호스트가 대화하는 형식의 팟캐스트 스타일 오디오를 생성해주는 혁신적인 서비스입니다. 논문, 기획서, 가이드북 PDF만 있으면 나만의 AI 오디오 콘텐츠를 몇 분 만에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해보기

  -1단계

노트북LM 접속 및 소스 업로드

1. 엣브라우저에서 https://notebooklm.google/ 입력, 사이트 접속

2. NotebookLM 사용해 보기 클릭

3.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

4. 오른쪽 상단 새로 만들기클릭

5. 소스 업로드클릭 후 PDF 파일 선택

최대 50개 파일 업로드 가능, PDF, txt, mp3, Google Drive, 링크(웹사이트, 유튜브), 텍스트 가능

 

- 2단계

팟캐스트 생성 기능 활용

1. 오른쪽 스튜디오 메뉴 중 ‘AI 오디오 오버뷰클릭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며, AI 오디오 오버뷰 생성 시간이 다소 소요됨.

2. 생성된 팟캐스트를 바로 듣고, 재생속도 변경, 다운로드, 공유 가능

공유는 노트북을 볼 수 있는 사용자만 확인가능, 다운로드 후 파일 공유 권장

3. 생성된 팟캐스트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맞춤 설정을 활용하여 재생성하기

생성 팟케스트 예시 파일

- PDF파일명: 2025 경상북도교육비특별회계 예산편성 기준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

- 기타: 맞춤설정 옵션 지정하지 않음

 

2025_경북_교육_예산_해부__늘봄부터_AI까지,_미래_교육의_청사진은_.m4a
11.32MB

 

유의사항: 노트북LMLLM모델의 단점인 환각(Hallucination)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업로드한 자료를 기반으로 AI 오디오 오버뷰, 문서 브리핑, 설명 동영상(영어만 가능), 브리핑문서, 학습가이드 등을 생성해 줍니다. 무료 버전은 최대 30분까지 팟캐스트 생성이 가능합니다. 출퇴근 길 주요 문서를 자연스럽게 학습해 볼까요?

 

 

 

 

지역교육청에서 연수원으로 자리를 옮기고 나니, 공문 발송 수신처가 도내로 확대되었습니다. 

도에서 연수 희망을 받고, 해당 학교로 통보 공문을 보내는 일이 잦아졌습니다.

이때 해당 학교를 수백교를 찍는 일도 발생합니다.

이때 손쉽게 일괄 등록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step 1. 나이스 기관 코드 확인하기

수신처 일괄 등록 첫번째 작업으로 수신처 기관 코드를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를 제외하고, 바로 k에듀파인 수신그룹을 검색해서 추가해도 되지만, 시간을 더 절약하는 방법으로 본 단계를 추천드립니다.

제가 소속된 연수원에서 다른 연구사님이 보내주신 기관별 코드가 정리된 엑셀파일입니다. 

학교목록이라는 시트에 기관명 및 코드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본 시트의 기관명을 VLOOKUP 함수로 찾아서 기관코드를 출력하는 시트로 구성됩니다.

물론 학교목록시트에 신설교가 반영이 안되어 있다면, 도교육청 나이스 담당 주무관님께 최신 기관 코드를 받은 후 추가하시면 됩니다. 유치원의 경우 병설유치원은 초등학교명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공문이 초등학교로 접수되기때문입니다.

기관코드는 보안이 필요해서 본 블로그에 올리지는 못하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파일명 1. 수신그룹일괄등록(자료))

 

수합한 공문 수신처 기관명을 붙여넣기하면 다음과 같이 한번에 코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유의할점은 '○ ○초등학교' 형식으로 입력해야합니다.

 

 위와 같이 동명의 학교가 있을 경우 지역청 명을 1번  칸에 입력하면 해당 학교의 정보가 입력됩니다.

만약 빨간색 오류없이 비어있는 경우는 리스트에 없는 학교이므로, 신설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도교육청 나이스 담당 주무관님께 신설교 리스트를 받아서 추가하시면 됩니다.(파일명: 업무조직목록.xlsx)

step 2. 개인수신그룹 추가하기

 

개인 인증서로 k에듀파인에 로그인합니다. 우측 상단 개인설정 > 개인수신그룹관리 > 일괄등록을 클릭합니다.

파일양식받기를 클릭하여, step1에서 작업한 파일을 서식에 맞게 편집해줍니다.

수신그룹명으로 등록할 내용을 1에 입력, step1에서 자동으로 찾은 수신기관 코드 및 수신기관명을 복사 붙여넣기 합니다.

나머지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 수신그룹등록교육청은 제일 상위트리 교육청코드입니다.(경북의 경우 조직명: 경상북도교육청, 코드는 ~~~~01)

저장을 하셨다면, 일괄 등록 > 찾아보기를 해주시면 됩니다.

좀전에 저장한 일괄등록 파일을 선택하고 저장합니다.

개인수신그룹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꼭 잊지마시고, 반영을 선택해서 수신그룹에 조회되도록 처리합니다.

 

공문을 기안할 때 수신자 지정을 클릭 후 개인수신 그룹 목록에서 방금 반영한 내역이 확인됩니다.

혹시나..수신처를 누락했다면..이전 포스팅 참고하셔서 추가발송하시면 되겠죠?

https://gyo6.pe.kr/41 

 

수신자를 누락하고 공문이 발송 되었을 때 대처 방안

교육전문직으로 전직한지 2개월째, 아직도 학교현장과는 많이 다른 시스템에 적응중입니다. 오늘은 일주일 전 관내 초중고로 발송한 공문이 초등학교에 접수되지 않았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gyo6.pe.kr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D

 

이번 포스팅은 부서장(저의 경우 교육지원과장님)의 일정을 공유하여, 일일이 부서장 대면 후 일정을 정하던 관례를 좀 스마트하게 변화시켜보고자 시도한 사례입니다. 구글 캘린더를 사용하시는 분과, 그렇지 않은 분은 절차가 다를 수 있습니다.

 

구글 캘린더 사용자

기존 공유 캘린더를 저는 구글 캘린더를 사용하여 왔습니다. 이 경우 간단히 캘린더 공유 주소를 클릭해서 내 캘린더로만  추가하면 일정을 공유 받을 수 있습니다.

공유 캘린더 주소는 url shorter 사이트 중 gg.gg를 이용해서 만들었습니다.

공유주소는 내부 메신져로 송부드린 gg.gg/000-00 형식의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캘린더 추가를 클릭하면 기존 내 킬린더 아래 '다른 캘린더'에 목록이 보입니다.

구글 캘린더  미 사용자

구글 캘린더를  사용하지 않으시는 경우 개인 계정으로 로그인 후 위 캘린더 공유하기를 거쳐서 일정 확인(구글 크롬 브라우저 계정 입력 후 자동 로그인 추천

 

부서장 일정 입력 방법

이제 부서장의 일정을 확인하고, 행사가 잡힌 경우 입력방법 안내입니다.

캘린더를 공유한 계정은 중복 로그인 시 계정 잠금이 발생 할 수 있어서, 입력을 원하는 사용자의 구글 계정(자신이 로그인한 계정)을 관리자(우리 기관의 경우 저에게 개별 연락)에게 전달하고, 해당 관리자가 특정 사용자와 공유하기로 계정을 등록하면 됩니다.

 

 일정 등록 사용자  추가하기

일정 등록이 가능하도록 타 사용자를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본 절차는 부서장 캘린더를 만든 구글 계정으로 수행해야합니다.

-캘린더 명 우클릭 > 설정 및 공유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과 공유 > 사용자 및 그룹추가 클릭

 

입력할 부서원 계정을 입력하고, 일정 입력이 가능하도록 '일정 변경' 기능 선택후  보내기 클릭

추가된 부서원이 보입니다. 

로그인 하지 않고 공유 캘린더 확인하기

구글 캘린더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 입력도 하지 않지만, 부서장의 일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도 있습니다.

이경우 웹에서 바로 로그인하지 않고 캘린더를 볼 수 있습니다.

 

공유할 캘린더 우클릭, 설정 및 공유 선택

캘린더 통합 > 이 캘린더의 공개 URL 복사 > url shorter 프로그램 이용 주소 단축 > 공유하기

저는 주소 입력이 간편하여 gg.gg 사이트로 url을 짧게 만들고 있습니다.

앞 단계에서 복사한 공개url주소를 1번에 넣고, 내가 원하는 주소로 만들기 위해서 2를 체크 후, 3에 원하는 숫자 및 영어 조합으로 주소를 입력해서 짧게 만들 수 있습니다.

공유한 주소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웹페이지에서 공유 캘린더를 로그인 없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부서장의 일정을 확인하고, 부서원 간 업무조정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