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은 공문서로 말한다'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그만큼 공문서는 내용도 중요하지만 형식적인 면도 중요하다는 방증이 아닐까 합니다.

경상북도교육청의 경우 공무서 기본 글꼴을 6.13.(월) 기준으로 기존 굴림체에서 맑은 고딕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런 제안을 한 이유는 굴림체의 경우 일본이 개발한 나아루체'를 한글에 응용한 글자체로서, 2021년도 공무원 제안 공모전에서 제안이 된 내용입니다. 일종의 일재 잔재 청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따라서 22.6.13.이후 공문서 작성의 기본 글꼴이 기존의 굴림체에서 맑은 고딕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글자체만 변경 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글자체가 변경되면서 폰트 사이즈 및 장평, 자간 , 줄간격의 변경이 있었습니다. 

기존에 작성된 공문서 재활용하기?

22.6.13.이전 작성된 공문서를 다시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볼까요?

기본폰트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재작성' 또는  '본문복사'만 해서는 굴림체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변경된 폰트로의 변환이 필요합니다.

 

먼저 다른 사람이 유사한 기안을 한 경우 '재작성', 또는  '본문복사'를 통해서 내용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재작성의 경우 원 기안문 그대로 기안창이 생성되며, 본문복사의 경우 클립보드에 본문이 복사되고, 내가 기안하는 문서에 붙여넣기를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유사한 행사를 올해 다시 진행해야 하므로 ①재작성을 클릭합니다. 새로운 기안창이 열리면서 기존 제목, 본문이 그대로 가져와 집니다. 그런데 보이시나요? 제목의 글자체는 새로 바뀐 맑은 고딕으로 되어 있으나 본문은 기존 궁서체 그대로입니다. 이 기안문을 숫자와 내용을 수정해서 올린다면 결재자에게 굴림체가 그대로 노출됩니다. 일부 서식에 맞는 수정이 필요합니다.

ctrl+a  전체 선택

공문서 편집기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제고아는 한글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합니다. 따라서 단축키가 동일하게 호환됩니다.

전체 선택을 하여 본문의 글자체를 맑은 고딕으로 변경합니다. 단축키 crtl+a 를 입력합니다.

상단의 메뉴에서 글자체를 입력해도 되나, 단축키가 더 편해서 단축키를 입력합니다.

alt+L 글자모양

한글 단축키 중 서식메뉴의 글자모양을 불러오는 alt+L을 입력합니다.

기안문 기본 본트는 '맑은 고딕'이며, 장평 100, 자간 0, 기준크기 11.5가 기본입니다.

굴림은 12가 기본이었으므로, 그대로 글꼴만 변경된 경우 본문 크기가 크게 보입니다.

재작성 또는 본문복사를 한 경우 반드시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글자체를 바꾼 후 모습니다. 어딘가 어색합니다. 왜일까요? 줄간격 때문입니다.

줄간격의 경우 기존 굴림체 폰트에서는 123%가 기본값이었으나, 맑은 고딕으로 변경된 후 103%가 기본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기존 값을 그대로 두면 위와 같이 줄 간격이 매우 넓어 보입니다. 

 

alt+T 문단모양

전체 선택 (ctrl+A) 후 한글 서식메뉴의 문단모양을 불러오는 단축키 alt+T를 클릭합니다. 줄간격 값에 '103'을 입력합니다.

이제 줄간격이 정상적으로 보입니다.

 

또한 항목이 두 줄 이상인 경우 둘째 줄부터는 항목의 첫 글자에 맞추어 정렬해야합니다. 이때는 첫줄 시작점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 한 후 Shitf+Tap을 누르면 바로 정렬이됩니다.

마지막으로..

표안의 텍스트 크기는 기본값은 10입니다. 적절히 10.5로 수정하거나, 줄간격을 줄여서 작성하셔도 됩니다.

추가로 공문서 작성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경상북도교육청 이무하 주무관님의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확인하시면 대부분 해결이 가능합니다. :D

 

https://blog.naver.com/rotclee/222033602471

안녕하세요~

이전 포스팅에서 페러럴즈로 arm위도우즈에서 evpn사용하기는 올렸었습니다.

그런데 딱 하나 안되는점..바로 기안기였는데요..

공식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지만.. 사용이 가능한 점을 방금 알고 포스팅합니다.

 

제 글을 보신 경기도 선생님께서 친절히 기안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arm윈도우에 설치하면..미지원이라고는 뜨지만 기안기가 정상작동한다는 소식을 댓글로 알려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분글을 보고 해당 주소로 로그인해서 기안기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메일로 보내두었습니다. 만약 프로그램이 이미 설치되신상태라면.. 제어판에서 kedufine 파일을 삭제하고 다시 다운로드 받으시거나 바로 아래 제가 첨부한 파일을 설치하셔도 됩니다.(22.11.24.기준 파일)

Kedufine (1).zip
1.84MB

arm윈도우즈에서 위 파일을 다운받아서 압축 해제 후 설치하시고, evpn접속하시면 미지원이라고  뜨지만 실제로 기안기가 작동합니다. 그래서 공문 결재 및 기안이 가능합니다.

댓글로 도움주신 babo님 감사합니다.

이제 맥으로 모든게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북교육청 교육전문직원 임용후보자 선발 전형 중 인성평가와 관련한 안내를 드립니다.

 

인성평가는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유레카(http://www.statschool.net/)를 이용해서 제작한 문항을 활용합니다. 유레카의 특성상 모바일 뷰가 웹반응형 설계로 이루어지지 않아 PC로 작성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따라서 교감선생님께서 평가 참여자(재직중인 정규교원, 후보자 본인 제외, 10명 미만일 경우 기간제 포함)에게 주소를 GBE 메신져로 송부드려서 클릭하여 접속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학교별로 담당 장학사가 방문하여 온라인 평가 안내자료와 평가 참여자 개별 부여된 평가인증번호(난수)를 기록한 종이를 교감선생님(교감선생님 응시인 경우 교장선생님)께 전달합니다. '인비'처리한 봉투를 현장에서  개봉 후 평가 참여자에게 배부하면 됩니다. 응답기간은 5.30.(월) 09:00~6.3.(금) 17:00 입니다. 하지만 수요일 선거일이므로, 되도록 화요일까지 완료되도록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전체 대상자 중 80%이상 응답을 하면 유효 데이터로 처리됩니다.

 

온라인 인성평가 안내자료 샘플 일부분입니다.

 

접속 주소 및 QR코드(모바일 접속 시 활용)가 있으며, 응답비밀번호가 표시되어 있습니다.(샘플로 1111 입력함, 실제로는 다른 숫자  네자리임)

 

접속주소는 평가자 개별로 고유의 주소가 있습니다. 만일 학교에서 두 명의 응시자가 있다면, 접속 주소는 두 개가 됩니다. 대상자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응답비밀번호는 잠겨져 있는 평가지에 접속하는 용도입니다. '평가인증번호'와 다릅니다. '평가 인증번호'는 평가 참여자 개인별로 다 다릅니다.(대문자1+숫자1+대문자1+숫자1 형태로 구성) 비밀번호를 넣고 설문지에 접근하면 평가 인증번호를 넣는 칸이 나옵니다. 대소문자 구별하여 정확하게 입력 후 '중복체크'를 꼭 눌러야 합니다.(평가 인증번호는 개별 부여되는 안내자료에 붙여져 있음)

 

만일 제출 후 동일한 '평가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이미 설문에 참여하였다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한 번 입력한 설문은 어떠한 경우에도 초기화는 불가능하니 신중하게 입력해주셔여 합니다.

평가 참여자 개인별로 부여된 '평가인증번호' 중복체크 후 이상이 없으면 문항지가 보입니다. 응시자 성명을 꼭 확인하고, 해당 문항에 대한 답변을 선택하면 됩니다.(매우부족 / 부족/ 보통 / 우수 / 매우우수 순으로 보기 제시됨) 급하게 평가를 한다고 매우우수를 선택해야하는데 매우부족을 선택하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꼭!! 매우우수를 잘 보고 선택해야합니다.

 

응답 완료 후 제출을 눌러서 아래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