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에서 제공하는 공인 교육자 시험에 응시하는 선생님들이 많이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GEG(Google Education Group )를 중심으로 부트캠프를 통해서 공인 교육자 시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부트캠프에 참여해서 시험에 응시하면 보다 편하게 레벨1 취득이 가능할 것이 분명하지만, 오프라인 모임이 어려운 경우 독학도 가능합니다. 국내에 얼마나 많은 분들이 시험에 합격했는지  다음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gg.gg/gceinkorea)


먼저 구글 공인 교육자 시험을 응시하기 전 응시 수수료를 납부하는 방법이 안내된 영상을 살펴보겠습니다. 국내 최초 구글 이노베이터이신 박정철 교수님이 제작한 영상이며, 유튜브에서 누구나 볼 수 있습니다(아래링크 클릭). 시험 등록 전 미리 수행해두면 시간을 조금이나마 절약할 수 있습니다.


구글 공인 교육자 자격 시험 등록하는 법



시험은 등록 > 온라인 3시간 시험(선다형 + 시나리오 형태의 시험)으로 이루어지며, 구글 본사에서 제공하는 시험이라 영어로 진행되지만,  크롬의 자동번역 기능을 활용하면 영어에 대한 어려움은 크지 않습니다. 시나리오 형태의 시험은 11개 정도 이루어지며, 시나리오 당 2~6개 정도의 세부 단계로 나뉘어서 제공됩니다.  시험용 임시 계정을 크롬의 새 시크릿창을 열고 로그인하여 실습형태로 진행되는 방식이고, 웹캠이 주기적으로 대리시험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시험 전 화장실 + 간식 준비는 필수!!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을 담은 이북을 구글플레이 도서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아래 링크 클릭). 


구글 인증 교육자 레벨 1 완벽대비 e북 



이북을 활용하거나 Teacher Center(https://teachercenter.withgoogle.com/)의 학습자료를 활용하여 준비하면 레벨 1은 어렵지 않게 합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시간의 시험 종료 후 바로 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시간 이후 인증서를 첨부한 메일이 도착합니다. 3년간 유효하면 이후 다시 재응시하면됩니다.






구글리한 시험을 통해서 내가 몰랐던 구글툴즈를 배우는 색다른 경험도 하실 수 있습니다.

관심있는 선생님들 도전해보세요 ^^




교육기관은 G Suite를 간단한 도메인 인증 절차를 거치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 Suite는 구글의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서비스로, 클라우드 컴퓨팅, 생산성 및 공동 작업 도구, 소프트웨어 및 제품의 브랜드입니다(위키피디아, 2019). 한국에서도 여러곳의 초,중,고,대학에서 신청하고 사용중입니다. 현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출처: G suite for Education Korea 페이스북 그룹) 

https://goo.gl/rCwHwb


업그레이드 방법은 여러 선생님들이 이미 공유를 해주셨습니다.(도메인 확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학교장 명의 메일 발송단계는 현재 생략되었습니다)


박종필 선생님 자료:  https://jppark.smart89.com/g-suites

대구 구글&마이크로소프트 사이버학습 연구회 결과보고서: https://goo.gl/MYWeuY


그러나 위 방법으로는 경북교육청 소속 학교에서 업드레이드를 진행하기는 다소 정보가 부족합니다. 경북교육청의 경우 경북교육청 산하 교육기관 홈페이지를  경상북도교육청연구원 서버를 활용하여 학교통합홈페이지 지원센터를 통하여 일괄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메인도 일정한 패턴으로 지정해서 길게 사용중입니다.(예:http://school.gyo6.net/개별학교영문명칭)


따라서 일반적인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도메인은 개별학교에서 구매해서 사용하지 않는다면, 위와 같이 긴 도메인을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G Suite for Education 서비스 신청시 위 도메인을 그대로 입력하면 인증도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학교 기관명으로 도메인 사이트에 가입하고, 기관을 증명할 수 있는 사업자 등록증을 송부하여 가입을 하였습니다. 제한적 2단계 공공도메인에 속하는 교육기관 홈페이지는 해당 기관의 사업자등록증 확인을 통하여 가입이 되기때문에 대부분 학교의 영문 도메인 명칭은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끔 흔한 이름의 초등학교는 도메인이 이미 가입되어서 대쉬나 지역명을 덧붙여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도메인 가입이 완료되면 경북교육청 홈페이지 관리사이트에 G suite for Education 가입과 관련하여 게시글을 등록합니다.

학교통합홈페이지 지원센터는 각 학교에 배부된 관리자 계정(R100******)으로 로그인하여 관리자모드 접속이  가능합니다. 


관리자모드 화면 상단 우측의 지원센터 수정요청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학교통합홈페이지 지원센터의 지원센터 메뉴 중 '구글앱스신청'게시판이 있습니다. 이 게시판에 학교별 G Suite for Education  신청사항을 입력하면 됩니다. 



제가 등록한 글의 예시입니다. 처음에는 별도 도메인을 신청하지 않고 학교별로 배부된 긴 도메인으로 신청을 하였습니다. 신청이 되었더라도 기관 사용자의 도메인이 많이 길어졌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글을 등록하면 2~3시간내로 담당자가 전화를 줍니다. 전화 통화 후 가입한 도메인 사이트의 접속정보를 알려드리면 도메인소유권에 필요한 메타테그를 수정해줍니다. 개별 선생님께서 하셔도 되지만 잘 모르신다면 저처럼 요청하시면 쉽게 해결됩니다. 도메인 소유권 확인이 되었다면 구글 메일을 수신하기 위하여 MX레코드를 추가해줍니다.(레코드값: https://support.google.com/a/answer/174125?hl=ko)


MX 레코드 추가 후 업드레이드 메일을 송부하면 4~5일 내로 업드레이드가 완료되었다는 메일이 수신됩니다. 

나머지 절차는 제가 위에 올려드린 박종필 선생님과 대구 구글&마이크로소프트 사이버학습 연구회 결과보고서를 참고하시면 쉽게 진행이 가능하실 겁니다.


구글클래스룸의 기초 사용법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출처: G suite for Education Korea 페이스북 그룹  조재영 님)

https://goo.gl/49GpfU


경북교육청 소속의 많은 학교에서도 G Suite for Education 서비스에 가입하여 수업 및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경북교육청 소속 교직원의 경우 18.10.11.(목) 부터 MS Office 365서비스를 무료로 사용가능합니다. 도교육청에서 표준오피스 소프트웨어 연간 계약을 체결하였기 때문입니다. 2018년부터 계약이 진행되었기때문에 향후 3~4년은 장기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타 시도교육청과 달리 경북교육청은 별도 365 인증 홈페이지를 통해서 인증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습니다. 접속 후 교직원 계정생성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인증 사이트의 구체적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365.gyo6.net/


경북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인증코드는 두 종류입니다. 교직원용, 학생용이며, 공문으로 각 학교별로 안내가 되었습니다. ( 공문 제목: 오피스 365 서비스 제공 안내) 학교별 정보부장님께서는 알고 계시니 문의 하시면 됩니다.


교직원 계정 생성을 클릭하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에 대한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동의를 클릭합니다.

동의 후 계정 생성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1. 학교로 부터 안내 받은 인증코드를 입력합니다.

2. 소속 기관명을 클릭 후 검색, 성명을 입력합니다.

3. 입력한 성명으로 가입된 휴대전화로 인증을 진행합니다.(타인 명의 인증불가)

4.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이때 학교별로 도메인이 생성되기 때문에 쉬운 아이디로 입력하셔도 됩니다. 단 계정정보가 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생성규칙 등록 ID @ 학교영문명es. school.gyo6.net ) 학교 영문명 뒤 이니셜은 학교급에 따라 다릅니다(초등es, 중등 ms)

5. 보조이메일의 경우 비번분실시 활용됩니다.

6. 입력 완료후 확인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정상적으로 입력이 완료되면 처리결과 화면으로 이동됩니다.



office 365로그인을 클릭하면 오피스 포털로 이동됩니다. 추후 바로 접속할 경우 아래 주소를 바로 입력하셔도 됩니다.


http://portal.office.com


위에 생성한 계정정보로 로그인 후 다음 화면이 보입니다.

1. office 설치를 클릭하여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office 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는 다른 환경에서 설치할 경우 다른 설치 옵션의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CD설치를 하셨다면 삭제 후 설치가 가능합니다. 중복하여 설치는 되지 않습니다. 1인의 경우 총 5대 기기에 설치가 가능합니다.


2. 웹 앱 상태로 오피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과 컴퓨터실에서 프레젠테이션 작성을 할 경우 웹앱 형태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만 연결된 상태에서 공문서 붙임 파일을 웹엡으로 작성해서 학교 컴퓨터로 저장해서 사용도 가능하겠죠. 기타 프로그램들의 아이콘도 보이며, 설문조사, Sway, Teams등의 메뉴 사용도 가능합니다.


3. 최근에 클라우드로 저장한 파일의 미리보기 화면입니다. 




경북교육청의 경우 office 365 A5 라이선스를 제공합니다. 원드라이브 용량은 1Tb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무려 1000기가.. 따라서 데스크톱 프로그램 설치 후 동기화 폴더를 학교에서 지정해두시면, 집에서도 학교에서 동기화 한 폴더의 자료를 그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하드 용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동영상같은 고용량 자료의 동기화는 지양하시고, 문서 종류의 가벼운 데이터는 편하게 동기화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부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경북교육청에서 라이선스를 지원하는 만큼 사용 조건이 되시는 분들은 활용을 많이 하시는것이 어떨까해서 공유합니다.

학생 라이선스도 계약이 되어 있기때문에 교육에 적용해보실 선생님께도 추천드립니다.













+ Recent posts